반응형
Firebase CLI 세팅
Firebase CLI를 사용해서 세팅하기 전에는, Firebase Console을 통해서, iOS와 Android를 둘다 세팅해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, googleService-info 파일같은 dependency들을 project내에서 관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습니다.
공식문서 링크:
https://firebase.google.com/docs/flutter/setup?hl=ko&platform=android
1. firebase-tools를 설치한다
npm install -g firebase-tools
아래의 스크립트는 npm(node package modules)에서 Local에 -g(global)로 firebase-tools를 설치
2. flutterfire_cli 설치
dart pub global activate flutterfire_cli
export PATH="$PATH":"$HOME/.pub-cache/bin” 이런 문구가 보인다면 환경변수를 해당 경로로 세팅한다.
3. flutterfire configure
어떤 OS의 프로젝트를 선택할건지에 대해서 물어본다.
저는 ios,android,web을 선택했습니다.
yes를 해줍시다.
이렇게 하면 flutterfire configure가 끝나게 되는데요!
자 이렇게 보시면, 프로젝트 세팅이 끝난 것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.
지금은 앱 1개 표시 중이라서, 다른 데이터들이 안나오지만, 왼쪽에 눈 버튼을 눌르시면 확인 하실 수 있게 됩니다.
원래는 먼저, 세팅하고자 하는 flutter package를 추가해 줘야 합니다.
현재 flutter에서 사용가능한 플러그인과 OS입니다.
반응형
'Flutter > Flutt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pringBoot를 Supabase로 이관하기 Part1 (1) | 2024.11.03 |
---|---|
[Flutter] Firebase Cli 세팅하기 #2 - 초기화 하기 (0) | 2022.07.02 |
[Flutter] GestureDetector 클릭 영역 넓히기 (0) | 2022.06.25 |
[Flutter] Global로 SnackBar & Toast사용하기 (1) | 2022.06.24 |
[Flutter] BottomNavigationBar Reload 안되게 하기 (1) | 2022.06.18 |